2023년 4월 14일 세종시 정부청사 앞 도로에서 ‘414 기후정의파업’ 기자회견과 행진, 퍼포먼스가 펼쳐졌다. 2022년 9월 24일 서울 도심에서 전국에서 모인 각계각층의 3만5000여 명 시민들이 진행한 ‘924 기후정의행진’의 요구를 구체화한 ‘414 기후정의파업’은 에너지·교통·사회공공성 강화와 생태학살개발사업 즉각 중단을 요구하는 4000여 명의 시민들이 참여해 진행됐다.
414기후정의파업 참가자들이 정부세종청사를 향해 행진을 하던 중 생태학살 중단을 촉구하며 멸종을 상징하는 다이인(Die-in)퍼포먼스를 펼쳤다
정부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옆 펜스에 기후위기에 대한 경고문을 붙이는 기후정의파업 참가자들
이날 참가자들은 △에너지 공공성 강화로 전체 에너지 수요를 대폭 감축하고, 시민들의 필수적 에너지를 탈상품화해 에너지 기본권과 주거권을 보장하라 △에너지기업들의 초과이윤을 환수하고 공공주도 재생에너지 전환으로 탈석탄·탈핵을 추진하라 △모두를 위한 공공교통 확충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라 △노동자, 농민, 지역주민, 사회적 소수자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정의로운 전환을 시작하라 △광범위한 환경파괴와 생태학살, 신공항, 케이블카, 산악열차 건설 추진을 당장 중단하라 △자본과 결탁한 난개발과 부동산 투기, 그린벨트 해제 권한 지자체 이양 시도를 철회하라는 6대 핵심 요구를 발표하고 정부에 즉각 수용을 촉구했다.
414기후정의파업 참가자들이 세종시 2050탄소중립녹색성장 위원회 앞에서 각계 발언과 파업선언문 낭독을 마치고 산업통상자원부를 향해 행진을 하고 있다
한 학교에서 온 선생님과 학생들이 ‘더 늦기전에 기후행동에 나서라’며 산업통상자원부를 향해 외치고 있다
에너지, 교통 부문 등 공공부문 노동자들과 환경파괴적 개발사업을 반대하는 환경운동가들, 천주교를 비롯한 종교계, 송전탑 건설 피해지역 대책위 주민들, 청소년과 어린이들, 장애인 등 사회적 소수자 활동가와 시민 등 13개 영역의 참가자들은 ‘산업자본과 국가권력의 이익 기도에 의해 에너지체제 전환의 부담을 시민들에게 지우고 전환의 속도를 떨어뜨리고 퇴행하는 현실’을 비판하고 전환의 핵심에 ‘사회공공성을 강화하는 방향의 전환을 추진해야만 기후정의가 바로선다’고 지적했다.
“생태 학살 멈춰!” 거리 행진 참가자가 구호를 외치고 있다
기후정의파업 참가자들이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 석탄화력발전 퇴출을 요구하며 석탄회 대신 미숫가루를 뿌리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414 기후정의파업’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에너지+사회’ 체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세계시민사회의 인식이 국내에서도 구호나 명분이 아닌 직업과 생활세계 속에서 공감을 획득하고 이제 구체적인 현장의 요구로 조직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기후위기의 구조와 사회적 약자를 딛고 이윤을 추구하는 체제의 구조가 다르지 않다는 인식이 기후시민들의 직접행동으로 조직되기 시작한 것이다.
글 | 박현철 편집주간
사진 | 이성수 기자
2023년 4월 14일 세종시 정부청사 앞 도로에서 ‘414 기후정의파업’ 기자회견과 행진, 퍼포먼스가 펼쳐졌다. 2022년 9월 24일 서울 도심에서 전국에서 모인 각계각층의 3만5000여 명 시민들이 진행한 ‘924 기후정의행진’의 요구를 구체화한 ‘414 기후정의파업’은 에너지·교통·사회공공성 강화와 생태학살개발사업 즉각 중단을 요구하는 4000여 명의 시민들이 참여해 진행됐다.
414기후정의파업 참가자들이 정부세종청사를 향해 행진을 하던 중 생태학살 중단을 촉구하며 멸종을 상징하는 다이인(Die-in)퍼포먼스를 펼쳤다
정부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옆 펜스에 기후위기에 대한 경고문을 붙이는 기후정의파업 참가자들
이날 참가자들은 △에너지 공공성 강화로 전체 에너지 수요를 대폭 감축하고, 시민들의 필수적 에너지를 탈상품화해 에너지 기본권과 주거권을 보장하라 △에너지기업들의 초과이윤을 환수하고 공공주도 재생에너지 전환으로 탈석탄·탈핵을 추진하라 △모두를 위한 공공교통 확충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라 △노동자, 농민, 지역주민, 사회적 소수자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정의로운 전환을 시작하라 △광범위한 환경파괴와 생태학살, 신공항, 케이블카, 산악열차 건설 추진을 당장 중단하라 △자본과 결탁한 난개발과 부동산 투기, 그린벨트 해제 권한 지자체 이양 시도를 철회하라는 6대 핵심 요구를 발표하고 정부에 즉각 수용을 촉구했다.
414기후정의파업 참가자들이 세종시 2050탄소중립녹색성장 위원회 앞에서 각계 발언과 파업선언문 낭독을 마치고 산업통상자원부를 향해 행진을 하고 있다
한 학교에서 온 선생님과 학생들이 ‘더 늦기전에 기후행동에 나서라’며 산업통상자원부를 향해 외치고 있다
에너지, 교통 부문 등 공공부문 노동자들과 환경파괴적 개발사업을 반대하는 환경운동가들, 천주교를 비롯한 종교계, 송전탑 건설 피해지역 대책위 주민들, 청소년과 어린이들, 장애인 등 사회적 소수자 활동가와 시민 등 13개 영역의 참가자들은 ‘산업자본과 국가권력의 이익 기도에 의해 에너지체제 전환의 부담을 시민들에게 지우고 전환의 속도를 떨어뜨리고 퇴행하는 현실’을 비판하고 전환의 핵심에 ‘사회공공성을 강화하는 방향의 전환을 추진해야만 기후정의가 바로선다’고 지적했다.
“생태 학살 멈춰!” 거리 행진 참가자가 구호를 외치고 있다
기후정의파업 참가자들이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 석탄화력발전 퇴출을 요구하며 석탄회 대신 미숫가루를 뿌리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414 기후정의파업’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에너지+사회’ 체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세계시민사회의 인식이 국내에서도 구호나 명분이 아닌 직업과 생활세계 속에서 공감을 획득하고 이제 구체적인 현장의 요구로 조직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기후위기의 구조와 사회적 약자를 딛고 이윤을 추구하는 체제의 구조가 다르지 않다는 인식이 기후시민들의 직접행동으로 조직되기 시작한 것이다.
글 | 박현철 편집주간
사진 | 이성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