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6일 체르노빌 핵사고 36주년 전국동시다발행동에 참여한 탈핵시민행동 회원들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앞에서 핵없는 세상에서 살고싶다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함께사는길 이성수
지난 4월 26일(화) 오전 11시 <탈핵시민행동>이 주최한 체르노빌 핵사고 36주년 전국 동시다발 행동 집회가 서울, 부산, 대구, 경남 등 전국 각지에서 열렸다. 1986년 4월 26일 발생한 체르노빌 핵 사고는 사고 수습 과정에서 다수의 원전노동자와 소방관 사망, 주민 피폭과 사망, 거주지 소개를 불러왔고 방사능 오염 핫스팟이었던 인접 국가 벨라루스에서 갑상선암 10배 폭증 등 암 환자 증가를 불러왔으며, 방사능 낙진이 휩쓴 영국과 독일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에서 농지 오염으로 인한 토지 사용 제한, 광범위한 식품 오염을 불러왔다.
환경보건에서 식품안전까지 다양하고 장기적인 피해를 불러온 체르노빌 핵 사고의 발생지는 사고 후 36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여전히 반경 30km가 출입 통제되고 있고 사고 핵발전소 바닥에는 여전히 200t 이상의 핵폐기물이 남아 방사성 물질과 방사선을 내뿜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3만3000t이 넘는 거대한 콘크리트 돔으로 사고 원점을 덮었지만 이 돔은 노후 때마다 교체해야 해 막대한 비용(2014년 가치 추정 15조 원 소요)과 작업 중 사고로 대형 방사능 누출될 위험을 강요하고 있다.
산불이 울진 원전 경계선을 넘어서고 화재를 방지해야 할 수소제거기가 도리어 화재를 일으키고 원자로 격납용기 시멘트 격벽에 140여 개 구멍이 발견되는 등 다양한 사건·사고가 이어지고 있는 한국 핵발전소들의 현실을 체르노빌 36주년을 맞아 되돌아본다. 핵발전 재확대를 천명한 차기 정부에게 체르노빌의 의미를 묻는다. 기후변화는 핵 발전의 변명이 될 수 없다.
지난 4월 26일 체르노빌 핵사고 36주년 전국동시다발행동에 참여한 탈핵시민행동 회원들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앞에서 핵없는 세상에서 살고싶다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함께사는길 이성수
지난 4월 26일(화) 오전 11시 <탈핵시민행동>이 주최한 체르노빌 핵사고 36주년 전국 동시다발 행동 집회가 서울, 부산, 대구, 경남 등 전국 각지에서 열렸다. 1986년 4월 26일 발생한 체르노빌 핵 사고는 사고 수습 과정에서 다수의 원전노동자와 소방관 사망, 주민 피폭과 사망, 거주지 소개를 불러왔고 방사능 오염 핫스팟이었던 인접 국가 벨라루스에서 갑상선암 10배 폭증 등 암 환자 증가를 불러왔으며, 방사능 낙진이 휩쓴 영국과 독일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에서 농지 오염으로 인한 토지 사용 제한, 광범위한 식품 오염을 불러왔다.
환경보건에서 식품안전까지 다양하고 장기적인 피해를 불러온 체르노빌 핵 사고의 발생지는 사고 후 36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여전히 반경 30km가 출입 통제되고 있고 사고 핵발전소 바닥에는 여전히 200t 이상의 핵폐기물이 남아 방사성 물질과 방사선을 내뿜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3만3000t이 넘는 거대한 콘크리트 돔으로 사고 원점을 덮었지만 이 돔은 노후 때마다 교체해야 해 막대한 비용(2014년 가치 추정 15조 원 소요)과 작업 중 사고로 대형 방사능 누출될 위험을 강요하고 있다.
산불이 울진 원전 경계선을 넘어서고 화재를 방지해야 할 수소제거기가 도리어 화재를 일으키고 원자로 격납용기 시멘트 격벽에 140여 개 구멍이 발견되는 등 다양한 사건·사고가 이어지고 있는 한국 핵발전소들의 현실을 체르노빌 36주년을 맞아 되돌아본다. 핵발전 재확대를 천명한 차기 정부에게 체르노빌의 의미를 묻는다. 기후변화는 핵 발전의 변명이 될 수 없다.
경남도청 앞 경남탈핵시민행동
부산시청 앞 고리2호기 폐쇄 부산시민행동
서울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앞 탈핵시민행동
국민의힘 전라북도당 앞 전북환경연합
광주YMCA 무진관 핵없는세상 광주전남행동
| 함께사는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