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텍스트[어린이 책들] 성장의 아픈 의미, 숙자 언니

나는 어서 어른이 되고 싶다고 늘 바랐던 아이였다. 서울의 동(洞) 하나 만큼도 안 되는 소박한 면적과 인구를 자랑하는 지방 소도시는 어린 내게 갑갑하기만 했다. 얼른 대학생이 되기를, 어른이 되기를, 그리하여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이라곤 아무것도 없는 그 소도시에서 벗어나기를 꿈꾸었다. 하고 싶은 일도 보고 싶은 것들도 너무 많았고, 무엇보다 내 힘으로 살고 싶었다. 기실 어른이 되는 과정은 그리 나쁘지 않았다. 여러 가지 어려움이나 상처도 있었지만 견디기 힘들 정도는 아니었고, 오히려 제법 즐길 만 했다. 그럴 수 있었던 까닭은, 내가 아이로서 보냈던 시간 때문이었을 게다. 어른이 되기까지 누군가의 보살핌을 받으며 차곡차곡 자라나는 과정이 인간의 아이에게는 필요하다.

이 책은 아이가 어른이 되는 일이 지금과는 좀 달랐던 시절의 이야기다. 아마도 60년대쯤의 어느 시골 마을. 빨리 조그만 마을을 벗어나서 읍내로, 서울로, 더 큰 세상으로 나가고 싶은 셋찌니 영미도, 마을에서 마냥 뛰어 놀며 엄마와 평생 살고 싶은 막내 영옥이도 엄마와 아버지와 할머니의 품 안에서 어른이 되는 과정을 준비하고 있다. 그렇지만 세상에는 그런 보살핌 없이 어른이 되어야만 하는 아이들이 있다. 너무 이른 시기에 어쩔 수 없이 어른들의 세계로 떠밀리는 아이들. 영옥의 첫찌니와 둘찌니도 어린 나이에 서울의 공장에 취직해 돈을 벌어야 하고, 재혼한 엄마와 함께 살 수 없어 이모집에 맡겨진 숙자 언니도 제 앞가림할 방법을 찾아야만 한다. 이들에게 세상은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는 가능성의 터전만은 아닐 터이다. 그런 가운데에도 숙자 언니는 꿋꿋하게 나름의 삶의 요령을 터득해가고, 한껏 자기 욕심만 차릴 줄 알았던 영미도 타인을 이해하는 법,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워나간다. 막내 영옥이에겐 언니들의 변화가 낯설지만 조만간 그들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숙자 언니』가 보여주는 풍경이 요즘 아이들에게는 낯선 모습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숙자 언니의 심정을 헤아려보고 셋찌니 영미의 변해가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성장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을 법하다. 모든 아이들이 따스한 보살핌 속에서 자라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그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책 속에 삽입된 삽화들은 책의 내용을 한결 돋보이게 하는 보너스다. 간단하게 자르고 찢어 붙인 색종이, 신문 등이 산자락 사이에 놓인 좁다란 길도 되고, 머리 위로 나리는 꽃비, 활활 타오르는 장작불, 엄마의 편지를 기다리는 소녀도 된다. 운치와 정겨움, 그리고 포근함과 절절한 심정이 그 위에 드러난다. 시골 마을의 정경을 소박하고도 세련되게 표현한 삽화를 보고 있으면 은은한 온기가 가슴 속에 퍼지는 것을 느낄 수 있으리라.

조주연 urblue@hanmail.net회사원, 즐겨 책 읽는 사람


지엠오 아이

문선이 지음 / 유준재 그림 / 창비 / 264쪽

개 복제에 성공한 황우석 박사는 사회적 신드롬을 일으켰고, 국민들의 애국심을 한껏 자극하는 새로운 영웅으로 등극했다. 윤리와 도덕 운운하는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한편에선 좀더 나은 연구조건을 위해 나라에서 얼마를 지원하느니 마니 풍문이 들려온다.
이 책은 유전자조작(GMO)을 주제로 한 아동용 SF소설이다. 생명공학을 키워드로 과학기술과 인간, 삶과 죽음 등 인간과 생명에 관한 묵직한 질문을 던지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맹랑한 꼬마와 기계처럼 사는 무뚝뚝한 할아버지와의 이야기이므로 술술 읽힌다. 이 책을 통해 자녀와 이런 어려운 문제를 함께 얘기해보는 것도 좋겠다.
창비에서 주최한 제9회 ‘좋은 어린이책’ 창작 부문 대상 수상작으로 짜임새 있는 구성과 꼼꼼한 취재가 뒷받침된 소설이다. 유전자조작이 보편화된 미래사회가 배경이고, 유전자산업회사의 대표인 할아버지와 유전자조작으로 태어났지만 인간다움을 유지하고 있는 ‘나무’라는 아이가 그 주인공이다. 아이다움을 간직한 ‘나무’와의 관계를 통해 서서히 인간성을 회복해가는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생명공학에 대한 문제를 자연스럽게 고민하게 한다. 더구나 SF만의 묘미랄 수 있는 미래사회에 대한 묘사는 낯선 충격을 전해준다.
대상 : 초등학교 5, 6학년 


꿈꾸는 우리 민화

윤열수 지음 / 보림 / 72쪽

어린이들은 민화를 어떻게 볼까? 아니, 사실 본 적이나 있을까? 다행히 본 적이 있다면, 인간의 행복과 건강을 기원하는 여러 상징물들을 그린 민화의 세계를 어떻게 얘기해주면 좋을까?
이 책은 민화를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재미있게 설명한 그림책이다. 각각의 형상들이 실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소망이 담겨 있는지 꼼꼼히, 쉽게 풀어 썼다. 소박하고 따스한 민화를 한 점씩 감상하면서 곁들인 설명을 읽어가다 보면 단지 ‘주변의 친근한 것들을 대상으로 한 옛날 그림’에 불과했던 민화를 보는 안목을 키울 수 있다.
민화는 한 사회의 생활습속에 따라 제작된 대중문화의 소산이요 생활 속의 희로애락이 표현된 무명화가표 그림이어서 평범한 옛 사람들의 삶을 자연스레 만날 수 있는 계기로 삼아도 좋겠다.
더 욕심을 내자면, 우리 조상들의 자연환경에 대한 존중과 소박한 삶의 형태, 밝고 건강한 삶을 소망하는 민족적 정서와 해학적 독창성까지 알아챌 수 있으리라. ‘보림한국미술관’ 시리즈 네 번째 권.
대상 : 초등학교 5, 6학년 이상부터 어른까지


주간 인기글





03044 서울 종로구 효자로 7-2 4층
TEL.02-730-1326 | FAX.0504-981-7017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 아03915 | 발행일자 1993.07.01
발행·편집인 박현철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현철


월간 함께사는길 × 
서울환경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