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일입니다. 한 지구의벗 대표자가 제가 공부하는 고등학교에 찾아와서 저에게 이웃의 환경문제를 고민하는 청소년모임에 참가하지 않겠느냐는 제안을 해 왔어요. 그때 많은 학생들이 단체에 참가했습니다. 이후 저는 지구의벗 사무실을 나갔는데 그곳에서 한 활동가를 만났습니다. 그리고 2003년 3월 우리는 결혼하게 되었습니다.” 라콜 슈로(Raquel schrott) 활동가의 지구의벗 입문 그리고 지구의벗 커플로 활동하게 된 이야기다.
남미의 여러 지구의벗 중 가장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지구의벗 아르헨티나의 가장 큰 특징은 어떠한 경우에도 소농과 원주민의 입장에서 환경운동을 전개한다는 것이다. 라콜의 말을 더 들어보자. “소농과 원주민들은 세계경제 질서에서 완전히 배제되고 소외된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처음부터 여러 사회단체, 소농 그리고 실업자들 및 원주민 조직들과 연대하여 활동해 왔습니다. 우리는 항상 듣고 듣고 또 듣습니다. 그들이 자신의 생생한 언어로 말하는 것을 충분히 들은 후에 우리는 이야기하고 운동을 조직합니다. 우리는 거대 매스미디어에 의한 정보의 장벽을 깨뜨리는 일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독자적이고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운 언론이야말로 운동의 전개에 필수적이죠. 그렇기 때문에 리얼월드 라디오(The Real World Radio, http://www.realworldradio.com)의 등장을 매우 환영합니다. 이 매체를 통해 라틴아메리카 전역은 물론이고 전세계로부터 우리의 활동에 대한 지지와 격려 그리고 정보의 공유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의 원주민들은 광산과 석유개발 그리고 댐 건설 등으로 커다란 위협에 처해 있다. 특히 2003년 9월 이들 환경파괴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거대자본에 빼앗긴 주민들의 생존권을 되찾기 위한 캠페인에 지구의벗이 적극 앞장섰던 것은 물론이다. 지구의벗 사이버액션을 통해 세계 곳곳에서 보내주는 격려와 지원은 큰 힘이 된다. “지구 자체와 생명은 이들 소농들과 원주민들의 동맥혈관에 힘차게 흐르고 있습니다. 그들이 저항의 작은 발걸음을 내딛을 때마다 우리는 그들의 옆을 지키고 같이 걸으려 노력합니다. 그것이 지구의벗이 존재하는 이유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라콜이 힘있게 덧붙이는 말이다.
(amigos de la tierra)
“1998년 일입니다. 한 지구의벗 대표자가 제가 공부하는 고등학교에 찾아와서 저에게 이웃의 환경문제를 고민하는 청소년모임에 참가하지 않겠느냐는 제안을 해 왔어요. 그때 많은 학생들이 단체에 참가했습니다.
이후 저는 지구의벗 사무실을 나갔는데 그곳에서 한 활동가를 만났습니다. 그리고 2003년 3월 우리는 결혼하게 되었습니다.” 라콜 슈로(Raquel schrott) 활동가의 지구의벗 입문 그리고 지구의벗 커플로 활동하게 된 이야기다.
남미의 여러 지구의벗 중 가장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지구의벗 아르헨티나의 가장 큰 특징은 어떠한 경우에도 소농과 원주민의 입장에서 환경운동을 전개한다는 것이다.
라콜의 말을 더 들어보자. “소농과 원주민들은 세계경제 질서에서 완전히 배제되고 소외된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처음부터 여러 사회단체, 소농 그리고 실업자들 및 원주민 조직들과 연대하여 활동해 왔습니다. 우리는 항상 듣고 듣고 또 듣습니다.
그들이 자신의 생생한 언어로 말하는 것을 충분히 들은 후에 우리는 이야기하고 운동을 조직합니다. 우리는 거대 매스미디어에 의한 정보의 장벽을 깨뜨리는 일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독자적이고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운 언론이야말로 운동의 전개에 필수적이죠. 그렇기 때문에 리얼월드 라디오(The Real World Radio, http://www.realworldradio.com)의 등장을 매우 환영합니다.
이 매체를 통해 라틴아메리카 전역은 물론이고 전세계로부터 우리의 활동에 대한 지지와 격려 그리고 정보의 공유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의 원주민들은 광산과 석유개발 그리고 댐 건설 등으로 커다란 위협에 처해 있다. 특히 2003년 9월 이들 환경파괴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거대자본에 빼앗긴 주민들의 생존권을 되찾기 위한 캠페인에 지구의벗이 적극 앞장섰던 것은 물론이다. 지구의벗 사이버액션을 통해 세계 곳곳에서 보내주는 격려와 지원은 큰 힘이 된다.
“지구 자체와 생명은 이들 소농들과 원주민들의 동맥혈관에 힘차게 흐르고 있습니다. 그들이 저항의 작은 발걸음을 내딛을 때마다 우리는 그들의 옆을 지키고 같이 걸으려 노력합니다. 그것이 지구의벗이 존재하는 이유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라콜이 힘있게 덧붙이는 말이다.
최예용 choiyy@kfem.or.kr
(사)시민환경연구소 기획실장